티스토리 뷰

언어

언어계획과 지위계획

매일매일빵빵 2022. 8. 4. 14:01

오늘 포스팅은 공용어 및 한 국가의 언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언어와 관련된 또는 국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언어정책

언어 정책은 영어로 Language Policy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언어와 관련된 국가의 일관적인 정책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일관됨이라고 함은 심사숙고에 의한 정책 결정으로 그것을 꾸준하게 이어가야 한다는 점을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이 언어정책은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한 것처럼 한 국가의 언어 계획을 실행함에 있어 그것에 내포된 언어학적, 정치적, 사회적 목표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여기에는 한 국가나 또는 그 사회가 공유하는 언어에 대한 신념, 태도 등도 담고 있습니다.

 

 

언어와 언어 교육 언어 교육 개관에 대한 글

지구라는 별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고, 우리는 이를 인류라고 정의합니다. 인류의 역사는 지구만큼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지성과 이성을 가진 인류는 스스로를 동물과 구분 짓고 자신만의

mailmail00.tistory.com

 

지위계획

먼저 한 가지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한 국가는 각자의 공용어가 필요하고 이 공용어는 국가 정책과 사회 전반에 공통적으로 사용이 됩니다. 그렇다면 학교, 정부부처, 공문서까지 모두를 하나의 언어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 공용어가 두 개 또는 세 개인 나라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일정한 규칙이 존재해야 합니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그리고 가르치는 언어, 관공서에서는 무슨 언어를 사용해야 할지, 종교적인 의식에서 또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지 등 여러 언어 사용 상황에서의 고민이 필요하고 그것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를 지위 계획(Status Planning)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공용어를 정한다는 것은 특정한 언어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지위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정책을 시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어와 국어의 명확한 차이 설명

아시다시피 한국은 한국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한국어는 한국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한국사람을 다른 나라 사람과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이기도 합니다. 한국사람은 한국어

mailmail00.tistory.com

 

하나의 민족으로 형성된 국가의 경우 이런 공용어 선정에 있어 고민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떤 이는 요즘 시대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가 어디에 있느냐면 말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 논의하는 것은 아주 오래전 국가 간 교류가 없었을 때부터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자 그럼 가령 하나의 민족이 아닌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의 경우 여러 가지의 공용어가 채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민족의 언어를 공용어로 채택을 해야 하는지가 고민이 됩니다. 캐나다의 경우 프랑스어와 영어 두 개의 언어를 공용어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살고 있는 사람이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공용어가 되고, 상대적으로 사용 인구가 적은 언어는 공용어에서 제외가 되기도 합니다.

 

그렇지 않고 거의 동등한 위치를 차치하는 언어가 많은 경우 인도처럼 많은 언어를 공용어로 채택을 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