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언어든지 일정한 문장의 유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문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바로 이 문장의 유형에 대한 글입니다. 이 문장의 유형은 인간의 언어 활동과 같습니다. 즉 말하는 사람(화자)는 듣는 사람(청자)에게 자신의 생각 또는 의견을 진술, 권유, 명령,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한국어는 대게 종결어미를 통해 이를 나타냅니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또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종결어미를 어떤 표현으로 보는가는 학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문장종결은 몇 개? 한국어의 문장종결에 대한 의견은 학자에 따라 8개도 있고 4개도 있다고 봅니다. 여기서 배수로까지 차이가 나는 이유는 그만큼 종결을 짓는 표현이 다양하기 때문이고 이것을 넓게 보느냐 좁..
언어
2022. 9. 16. 22:12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한국어와국어의차이
- 언어
- 발표하기전에
- 국어
- 개다래
- 언어의역할
- 문장유형
- 처럼
- 언어정책
- 음식문화
- 겠
- 공용어가탄생이유
- 진수성찬
- 지위계획
- 한국어교육의역사
- 발표잘하는직업
- 기라도한듯이
- 한국어교육
- 선어말어미
- 화재예방
- 한국어문법
- 해외한국어교육
- 듯이
- 한국어
- 았/었다가는
- 예절문화
- 공용어
- 화행
- 모어
- 언어교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